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풋터 바로가기

건전성판단가이드

금융회사의 재무적 건전성은 일반적으로 자본적정성(Capital adequacy), 자산건전성(Asset quality), 수익성(Earnings), 유동성(Liquidity)등 4개 부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, 통상 각 부문을 잘 나타내는 재무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자본적정성(Capital adequacy)

BIS자기자본비율

BIS자기자본비율(이하 "BIS비율")이란 은행의 위험가중자산1아래 도움말 참조 대비 자기자본 비율로서, BIS비율이 낮을수록 자본이 취약한 은행입니다. 현재 금융감독당국은 BIS비율 최소 8%이상을 유지하도록 지도하고 있으며, BIS비율이 8%미만 2아래 도움말 참조일 경우 경영개선을 위한 적기시정조치를 부과하고 있습니다.

자산건전성(Asset quality)

고정이하여신비율

은행의 대출채권 등은 건전성이 높은 순서대로 정상·요주의·고정·회수의문·추정손실로 분류되고 있습니다.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 합계액(고정+ 회수의문+추정손실)이 여신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자산이 많은 은행입니다.

수익성(Earnings)

총자산순이익률(ROA)

총자산순이익률(ROA)은 은행의 총자산에 대한 당기순이익의3아래 도움말 참조 비율로써 은행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수익을 창출했는가를 나타내며, 동 비율이 지속적으로 양(+)이고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은행입니다.

유동성(Liquidity)

유동성커버리지비율(LCR)

유동성커버리지비율(LCR)이란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향후 30일간 의4아래 도움말 참조 순현금유출액에 대한 고유동성자산의 보유비율로써, 100% 를 기준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유동성이 부족한 은행입니다.

도움말(각주설명)

  1. 1 대차대조표 상 자산을 위험 수준에 따라 분류하고 위험이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시 계산
  2. 2 BIS비율 8%미만(권고), 6%미만(요구), 2%미만(명령)
  3. 3 은행이 일정기간동안 얻은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제하고 순수하게 남은 이익
  4. 4 ‘30일’의 의미는 현금유출입 시기가 불확실한 심각한 유동성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은행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
글자
크기

KOR